양보없는 대치… 진도 못나가는 민주 ‘야권통합’
입력 2011-11-30 18:37
야권통합 방식을 둘러싼 민주당 내부 대치가 지속되고 있다. 손학규 대표의 당권파는 29일 의원총회에서 나타난 다수 의견에 힘입어 연말 통합정당 출범에 드라이브를 걸고 있으나 박지원 의원 등은 방법론에 대한 이견을 거두지 않고 있다.
손 대표는 30일 최고위원회의에서 “한국노총이 우리의 통합 일정과 절차에 맞춰 오는 8일 대의원대회를 열고 통합에 참여하기로 했다”며 “통합정당은 온라인과 오프라인이 결합된 정당, 국민과 소통하고 젊은 세대가 쉽게 참여할 수 있는 정당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가 언급한 통합정당의 모습은 혁신과통합 측이 통합 조건으로 내걸고 있는 시민당원제, 온라인·청년 참여 강화와 맥을 같이한다. 이인영 최고위원도 “기성 정당이 오프라인 정당, 노·장년층에 기반을 둔 정당, 당원 중심 정당이었다면 새 정당은 온라인 정당, 젊은 정당, 국민 속에 뿌리박는 정당이어야 한다”고 거들었다.
그러나 박주선 최고위원은 “당원과 대의원의 합의에 의한 통합이 되지 않으면 새로운 분열에 도달할 수 있다”며 “(내가 어제 제시한) 꼭 그 안대로 하자는 것도 아니고 해소 못할 이견도 아니지 않느냐”고 지적했다. 박 최고위원은 전날 의총에서 오는 11일 전대에서 통합 여부를 표결로 결정하고 향후 구성될 수임기구에서 지도부 경선 방식 등을 재논의하자고 제안했다.
차기 당권주자인 박지원 의원은 통합정당 지도부 선출 방식으로 당원이 선출하는 ‘당원주권론’과 함께 ‘당원 여론조사’를 주장했다. 박 의원은 라디오 인터뷰에서 “지난해 10월 당 전대에서 손 대표가 당선될 당시 당원 여론조사 30%가 가미됐고 70%는 1만2000명 대의원으로 대체했다”며 “(통합정당 지도부 선출을 위한) 여론조사도 당원 속에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민주당은 지도부 선출 방식 등을 둘러싼 이견이 좁혀지지 않자 일단 1일 당무위원회를 열어 11일 전대를 소집한다는 것만 의결할 계획이다. 이후 추가 논의를 통해 수임기구 역할 및 지도부 선출 방식 등을 확정한다는 방침이다.
엄기영 기자 eo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