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사고 더 이상 안돼”… 금감원, 칼뺐다

입력 2011-11-28 18:23


금융감독원이 금융사고 예방을 위해 증권가 전반에 대한 대대적인 조사에 착수했다. 또 감사원 조사 결과로 드러난 증권사의 선물투자자 현금위탁금 이자 편취 등 문제에 대한 본격적인 사실 확인 작업에도 나섰다.

금감원은 최근 62개 증권사와 8개 선물회사에 대해 내부통제 운영 실태를 보고토록 하는 내용의 지도공문을 발송했다고 28일 밝혔다. 올해 각 부문별로 점검에 나선 적은 있지만 종합적인 검사에 들어간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금감원은 과거 금융사고를 토대로 주요 점검 사항을 망라한 100여개의 ‘체크리스트’도 업계에 전달했다.

체크리스트에는 주요 금융투자 상품부터 영업점의 영업자금 관리까지 광범위한 내용이 담겨 있다.

리서치 보고서의 부당 제공, 애널리스트의 자기매매 여부 등 그동안 업계에서 의혹이 불거졌던 불법행위와 후순위채 불완전 판매 및 퇴직연금의 불공정 영업 행위 등 시장의 쟁점 사항도 점검 대상이다.

금감원은 감사 또는 상근감사위원이 점검 결과 보고서를 확인한 뒤 반드시 대표이사 명의로 이를 제출토록 지시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주식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돼 금융사고 발생가능성이 높아진 만큼 투자자 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조치”라며 “대표이사가 관심을 가져 달라는 취지에서 반드시 대표이사 명의로 회송할 것을 지시했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금감원은 편취 의혹을 받고 있는 증권사의 선물투자자 위탁금 규모에 대해 금융투자협회(금투협)를 통해 사실 확인에 나섰다. 금투협 파생상품종합지원실은 2009년부터 지난 2분기까지 개인·기관·외국인의 분기별 선물투자자 위탁금 규모 및 미지급 이용료 추정 규모를 지난 24일 각 증권사에 요청했다. 금감원은 감사원 감사 결과가 나오면 법리검토 결과를 토대로 해당 이자를 고객에게 반환토록 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금감원이 증권사 수익 전반에 대해 조사에 나선 것은 증권사들의 탐욕과 도덕적 해이를 바로잡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최근 감사원 감사로 자존심이 상한 금감원이 이번 기회에 증권업계에 만연한 불법행위를 자체적으로 잘라내 명예회복에 나설 것이라는 관측도 제기되고 있다.

금감원 관계자는 “이번 점검은 예전보다 범위가 훨씬 넓고 깊이가 있다”면서 “금융사고를 낼 수 있는 부문만이 아니라 일상적인 업무까지 거의 다 들여다보고 있다”고 강한 의지를 밝혔다.

강준구 기자 eye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