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국·은행 ‘2차 위기 대비’ 공동전선
입력 2011-11-27 19:07
유럽 재정위기가 확산되자 금융당국과 은행권이 ‘2차 금융위기’ 대비에 나섰다. 금융당국은 경기가 더욱 나빠질 미래를 기준으로 대손충당금을 확충토록 하고 있다.
금융감독원 고위관계자는 27일 “앞으로 경기 전망이 어두운 상황이라 현재는 아니더라도 연체가 예상되면 그에 맞는 손실 준비를 해야 할 것”이라며 “한 달 전부터 대형은행 실무자들과 태스크포스(TF)를 구성, 대손준비금의 적정 규모를 협의 중”이라고 밝혔다.
금융위원회가 도입한 개념인 대손준비금은 부실채권이 늘어날 것에 대비하는 자금이다. 올해부터 은행권 회계에 국제회계기준(IFRS)이 적용되면서 달라진 대손충당금 제도 보완을 위한 것이다. 각 은행은 올해부터 예상된 손실에 대해서는 미리 대손충당금을 쌓을 수 없고, 실제 손실에 따른 충당금만 준비할 수 있다.
은행권에서는 9월 말까지 7조9000억원 수준이었던 대손준비금 잔액이 연말 9조7000억원까지 23% 정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한 대형 시중은행의 자금담당 임원은 “금감원이 은행들에 추가로 쌓으라고 주문한 대손준비금은 1조5000억원 안팎”이라고 언급했다. 또 다른 은행의 임원은 “1조3000억원에서 1조8000억원까지 대손준비금이 늘어날 전망”이라고 말했다.
또 금감원은 은행 재무건전성을 재평가하는 스트레스테스트 실시도 검토 중이다. 최근 유럽 은행감독원(EBA)과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자국 은행들에 대해 스트레스테스트를 한 만큼 우리도 점검할 필요가 있다는 판단이다. 금감원은 8월 외화자금 부문에서 스트레스테스트를 시작한 데 이어 원화자금 부문까지 범위를 넓히고 있다.
이경원 기자 neosar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