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류… 보류… 박 시장 취임 이후 재건축·재개발 ‘속도조절’

입력 2011-11-22 18:23

박원순 서울시장 취임 이후 서울시가 재건축 정비구역 지정안을 잇따라 보류하면서 박 시장이 공약했던 ‘재건축·재개발 속도조절’이 구체화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서울시는 지난 16일 열린 제19차 도시계획위원회에서 서울 개포주공 2단지(1841가구)와 4단지(3129가구), 개포시영(2148가구) 등 4건의 재건축 정비구역 지정안을 모두 보류했다. 앞서 지난 2일 18차 도시계획위원회에도 상정된 3건(서울 신월동, 불광동, 제기동)의 정비구역 지정안 중 ‘불광 제1주택 재건축 정비구역 지정안’만 가결했다.

사업 계획안 중 보완해야 할 부분이 많았고 파급 효과가 큰 지역이기 때문에 한 번 더 검토하는 차원이라는 게 서울시의 설명이다.

하지만 부동산 시장에선 재건축·재개발에 대한 박 시장의 생각이 반영된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박 시장은 강남지역 등에서 재건축으로 인해 집값이 뛰는 것에 대해 매우 부정적인 생각을 갖고 있는 것이 시장의 분석이다.

박 시장은 속도와 시기 조절을 통해 재개발·재건축 사업의 공공성을 강화하겠다고 밝혀왔다. 재건축 단지에 임대아파트 비율을 늘리거나 재개발 지역에 살던 주민을 인근 임대주택에서 임시로 살도록 한 뒤 다시 들어오게 하는 방식 등이 주요 내용이다. 앞으로 다른 지역의 재건축·재개발 심의도 까다로워질 것이란 전망도 힘을 얻고 있다. 현재 가락동 시영아파트, 둔촌동 주공 1∼4단지, 대치동 은마아파트 등이 도시계획위원회 심의를 기다리고 있다.

서울 시내 정비사업도 전면 재검토 수순을 밟고 있다. 박 시장은 취임식에서 “뉴타운과 관련해 새로운 해법이 필요하다”며 정책 전환이 있을 것임을 시사했다. 대규모 도심 개발보다는 낡은 단독·다세대 주택을 순차적으로 보수하는 지역공동체 친화적인 개발사업을 추진하겠다는 의미다. 따라서 사업이 지지부진한 상당수 뉴타운 사업의 개발방식이 바뀌거나 주민투표를 거쳐 아예 백지화될 가능성이 높다.

서울시는 내년 예산안에 뉴타운·재개발 사업성 재검토 연구비 20억원을 책정했다.

권지혜 기자 jh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