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쇄신론 재분출… 빅뱅?

입력 2011-11-20 19:02

한나라당은 한·미 FTA 블랙홀에 빠져 쇄신 논의 등 모든 것이 ‘일단 멈춤’ 상태다. 한 수도권 의원은 20일 “지도부에 대한 불만이 부글부글하지만 일단 FTA가 끝난 뒤 보자며 미루고 있다”고 전했다. 비준동의안 처리가 끝나면 지도부 거취 문제가 1차 화약고가 될 전망이다. 이 문제는 누가 쇄신과 총선 공천권을 행사할 것인지와 연결돼 있어 계파 간에 쉽게 양보할 수 없는 사안이다. 한 수도권 중진 의원은 “홍준표 대표 체제로 계속 갈 수 있겠느냐”고 말했다.

하지만 대안이 없다는 얘기도 많다. 유일한 대안으로 박근혜 전 대표가 꼽히지만 그가 대선 1년6개월 전부터 대권·당권을 분리한 당헌·당규를 바꿔가며 대표직에 오를 가능성은 별로 없어 보인다. 현 지도부가 물러나고 박 전 대표가 비상대책대위원장을 맡는 방안도 거론되지만 부정적인 기류가 적잖다. 한 친박계 의원은 “실권은 없고 책임만 있는데 왜 박 전 대표가 맡느냐”고 반문했다. 반면 친이명박계 의원은 “이미 박근혜당이 됐는데 왜 나서지 않겠다는 건지 이해가 안 된다”고 비판했다. 때문에 절충안으로 외부 인사를 위원장으로 내세워 비대위를 구성하고 공천심사위원회도 외부 인사 중심으로 꾸려 전격적인 공천 쇄신 작업을 맡겨야 한다는 말이 흘러나온다. 일각에선 전면적인 ‘간판 교체론’을 제시한다. 한 당직자는 “쇄신에 앞장서며 신망을 얻은 초선 의원이 당 대표가 되지 말란 법 있느냐”고 말했다.

야권에 비해 한나라당은 ‘헤쳐 모이기’에 약하지만 공천 문제가 본격화되면서 급격하게 분화될 가능성도 거론된다. 한 전략통 당직자는 “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이 계속 뜨고 쇄신 논의가 제대로 이뤄지지 못할 경우 수도권 초·재선 의원 그룹이 안 원장 쪽으로 갈 수도 있을 것”이라고 했다. 아울러 안 원장이 한나라당에 입당할 가능성은 없지만 그렇다고 그가 좌파 진보 진영과 손잡기도 힘들 것으로 보는 시각이 제법 있다. 대선을 진보와 보수 진영의 1대 1 대결이 아니라 1987년 대선 때와 같은 3자 구도가 될 것으로 보는 이들이다.

김나래 기자 nar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