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MS 손 잡고, 인텔·MS는 손 놓고… 글로벌 IT업계 합종연횡 후끈
입력 2011-09-29 18:46
글로벌 정보기술(IT) 업계의 합종연횡이 숨 가쁘게 진행되고 있다.
그동안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은 애플과 구글이 양대 축을 이뤘다. 여기에 마이크로소프트(MS)가 가세했다. 삼성전자는 이 틈바구니에서 활로를 모색해 왔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가 MS와 긴밀한 협력관계를 구축하기 시작했다. 사실 삼성전자와 MS는 그동안 소원한 관계였다. 삼성전자가 MS와 앙숙관계인 구글의 ‘안드로이드 진영’에 합류한 데 따른 것이다.
삼성전자와 MS는 전날 양사가 보유한 특허를 공유하는 크로스라이센스 계약을 체결하고 윈도폰 개발과 마케팅에서 적극 협력하기로 했다. 이는 삼성이 애플과 벌이는 특허 분쟁에도 유리하게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 애플 역시 MS의 특허를 침해했을 가능성이 있는 상황에서 삼성전자가 MS의 특허 사용권을 얻은 만큼 향후 특허 분쟁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삼성전자는 앞서 26일 MS와 서버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초절전 그린 서버 솔루션’을 개발했다고 공동 발표했고, 윈도7.5인 ‘망고’를 적용한 망고 첫 스마트폰 ‘옴니아W’도 공개했다.
이로써 삼성전자는 윈도폰 진영의 새로운 강자가 될 수 있는 기회를 확보하면서 유료화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는 구글 안드로이드 운영체제(OS)의 의존도를 낮출 수 있게 됐다. MS는 삼성전자를 등에 업고 애플과 구글을 동시에 견제할 수 있는 카드를 얻었다는 평가다.
다른 업체들의 움직임도 분주하다. 인텔은 삼성전자와 손잡고 멀티 OS인 ‘티즌’을 공동 개발키로 하면서 애플과 구글에 동시에 도전장을 내밀었다. 과거 인텔은 노키아와 함께 ‘미고’ 프로젝트를 진행했지만 노키아가 MS와 손잡으면서 삼성전자를 새로운 파트너로 끌어들인 것이다.
과거 윈텔(윈도+인텔)이라 불리며 강력한 동반자였던 인텔과 MS의 관계는 서먹해지고 있다. MS는 통합 OS인 윈도8을 발표하면서 인텔이 아닌 ARM과 손잡기로 했고, 인텔은 구글에 스마트폰 칩을 공급하기로 하면서 윈텔 동맹 붕괴가 초읽기에 들어갔다.
이런 가운데 범 안드로이드 진영의 아마존이 파격적인 가격의 태블릿PC로 애플의 강력한 라이벌로 등장했다. 아마존이 선보인 ‘킨들 파이어’는 안드로이드 OS로 구동되는 7인치 태블릿PC로 애플 아이패드의 절반 가격인 199달러(약 23만원)에 판매될 예정이다. 파이낸셜타임스(FT) 등 주요 외신은 일제히 아마존이 애플의 독주를 막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킨들 파이어 핵심은 클라우드 서비스다. 1800만권의 전자책을 포함해 영화, 음악, TV 등 클라우드 기반 콘텐츠를 사용하고, 공짜 개인 클라우드에 저장할 수 있다.
또 미국 최대 이동통신업체인 버라이존에 이어 4위 업체인 T모바일이 최근 진행 중인 애플과 삼성전자 간 특허 소송에서 삼성전자에 대한 지지를 표명했다.
맹경환 김아진 기자 khmae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