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中 ‘대만 무기판매’ 갈등 확산
입력 2011-09-23 21:55
미국의 대만에 대한 무기 판매를 둘러싸고 중국과 미국 간 갈등이 심화되고 있다. 중국은 이 문제를 유엔총회까지 끌고 가 철회를 요구하고 나서는 등 날선 반응을 보이고 있다. 이에 미 의회는 해묵은 중국의 환율 조작 의혹에 대한 법적 제재를 추진하는 등 맞불대응에 나섰다.
중국 양제츠 외교부장은 22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열린 유엔총회에 참석, “미국은 대만에 대한 무기 판매 결정을 철회하라”고 촉구했다고 AP통신이 보도했다.
양 부장은 “미국은 중·미 관계, 양안 간 평화와 안정을 지키고 싶다면 대만에 대한 무기 판매 결정을 즉각 철회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대만 문제는 중국의 주권, 안전 및 이해관계가 걸린 문제”라며 “미국은 중·미 관계에 장애를 조성하지 않도록 극도로 조심해서 행동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양 부장의 이런 발언은 미국이 최근 대만에 F-16 A/B기 개량 장비를 포함해 58억5000만 달러 규모의 무기를 판매키로 결정한 것을 겨냥한 발언이다.
훙레이(洪磊) 외교부 대변인도 “대만 문제는 중국의 내정으로 주권, 영토보전, 핵심이익에 해당하고 대만에 무기를 판매하는 것은 엄연한 내정간섭”이라며 “중국은 매우 강렬한 분노를 느끼고 있다”고 강조했다.
앞서 중국의 장즈쥔(張志軍) 외교부 상무부부장도 21일 게리 로크 주중 미국대사를 외교부로 불러 대만에 대한 무기 판매에 거칠게 항의했다.
중국은 지난해 초 미국이 대만에 F-16 C/D 전투기 및 블랙호크 헬리콥터, 패트리엇 미사일 등이 포함된 64억 달러 상당의 무기를 판매키로 했다고 밝힌 직후 미국과의 일부 군 교류 프로그램을 중단한 바 있다. 따라서 이번에도 그와 유사한 조치를 취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이런 가운데 미국 의회는 중국의 위안화 환율이 조작됐다는 의혹을 제기하며 중국산 수입품에 보복관세를 부과할 수 있도록 한 ‘공정무역을 위한 환율개혁 법안’의 상원 통과를 추진하고 있다. 이에 미·중 간 경제 분야 갈등이 재연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양지선 기자 dybs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