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대 국회 마지막 국감-지경위] “정전 경고 팩스 무역실로 오전송 황당”

입력 2011-09-23 22:11


지난 15일 전력수급에 비상이 걸려 정전사태로 치닫던 시각에 염명천 한국전력거래소 이사장은 한가롭게 언론 인터뷰를 하고 있던 것으로 드러났다. 그런가 하면 전력거래소가 지식경제부에 전력수급 비상 상황을 팩스로 알린다며 엉뚱한 부서에 팩스를 보냈던 것으로 밝혀졌다.

23일 한국전력 등에 대한 국회 국정감사에서 한나라당 박민식 의원은 “당일 오전부터 양수발전기를 돌리는 비상 상황에서 염 이사장은 오전 11시30분~오후 1시45분 메리어트 호텔에서 점심으로 먹고 사무실로 돌아와 언론 인터뷰를 했다”고 질타했다. 염 이사장은 오후 3시5분부터 20분간 한 전력전문월간지와 인터뷰를 진행했다. 단전 조치는 그 사이(오후 3시11분) 이뤄졌다. 박 의원은 “일촉즉발 위기상황에서 염 이사장은 무사태평이었다”고 비판했다.

또 전력거래소는 오후 1시35분 전력수급 경고 발령 사실을 지경부에 알리면서 담당부서인 전력산업과가 아닌 무역투자실 수출입과로 보낸 것으로 밝혀졌다. 염 이사장은 “담당 직원이 실수했던 것 같다”고 말했다,

단전을 실시하기 직전 그 사실을 지경부와 한전에 팩스로 보냈다는 주장도 거짓으로 드러났다.

전력거래소는 당초 오후 3시11분 단전 조치 직전에 이 사실을 지경부와 한전에 팩스로 보냈다고 했지만 지경부와 한전은 받은 바 없다고 밝혔다. 염 이사장은 “1시35분에만 보냈다”고 시인했다.

민주당 조정식 의원은 “오후 2시55분 전력거래소가 정확한 예비전력을 알려주지 않은 채 한전에 긴급부하차단을 실시하라고 통보했고, 한전은 예비전력이 400㎾인 상황에서 왜 부하차단을 하느냐며 영문도 모른 채 순환단전 조치를 취했다”며 “정보를 독점하고 있는 거래소가 한전에 진실을 말하지 않았고 경보시스템도 마비된 상태였다”고 지적했다.

이에 전력수요 예측을 실패하고 위기 대처마저도 엉터리로 한 전력거래소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원들의 질타가 쏟아졌다. 현재 전력 생산은 6개 발전사, 전력 거래와 계통 운영은 전력거래소, 송배전과 판매는 한전이 맡고 있다.

김정현 기자 kj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