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日에 방사능 오염 어류·해류 조사 제안
입력 2011-09-22 18:23
정부가 방사성 물질에 오염된 물고기나 해류가 한반도로 이동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일본에 공동조사를 제안하기로 했다. 정부는 그동안 일본 원전 사고로 누출된 방사성 물질이 한반도로 이동할 염려가 없다고 일관되게 주장해 왔다. 하지만 현재까지 일본이 방사능 유출을 차단하지 못하고 있고, 일본산 수입 어패류에서 방사성 물질이 계속 검출되고 있어 불안이 가시지 않고 있다.
외교통상부는 27일 열리는 한·일 환경협력 공동위원회에 ‘해류이동 및 어족자원의 회유 경로 파악을 위한 양국간 협력과제’를 신규로 제안할 예정이라고 22일 밝혔다. 후쿠시마 원전 인근 해역에 위치 발신 장치를 탑재한 표류부이를 띄워 해류 흐름을 관측하고, 물고기에 꼬리표를 달아 방류해 이동 경로를 추적할 계획이다. 수심별로 부이를 띄워보면 해류가 한반도로 직접 흘러드는지를 직접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외교부 관계자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해류 이동과 회유성 어류의 이동경로를 바탕으로 안전을 자신하고 있지만 과학적 증거를 수집해 안전을 입증하려는 시도”라고 설명했다. 국립수산과학원과 원자력안전기술연구원이 매달 실시하는 해수·어패류 방사능 오염도 조사에서는 별다른 징후가 나타나지 않고 있다고 덧붙였다. 정부는 지난 3월 원전 사고 이후 줄곧 방사성 물질이 한반도까지 이동할 가능성은 없다고 주장해 왔다.
선정수 기자 js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