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비핵화 베이징 회담… 北 ‘통 큰 결단’ 주목

입력 2011-09-18 23:51

오는 21일 중국 베이징에서 열리는 2차 남북 비핵화회담은 북한의 비핵화 사전조치가 쟁점이 될 전망이다. 지난 7월 발리 1차 회담 이후 두 달 만에 북한이 회담 개최에 응한 만큼, 그동안 우리 정부와 미국이 요구해 온 비핵화 사전조치에 대해 ‘모종의 결단’이 서지 않았겠느냐는 관측이 나온다.

이와 관련, 정부 고위당국자는 18일 “북한이 어떤 대답을 갖고 나올지 예측이 어렵지만 최대한 성과를 내도록 하겠다”며 “비핵화 사전조치 확보가 이번 회담의 목표”라고 말했다. 우리 정부와 미국이 요구해 온 사전조치는 미사일 시험발사 잠정 중단(모라토리엄), 추가 핵실험 및 우라늄농축프로그램(UEP) 활동 중단,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찰단 복귀 등이다. 이 가운데 UEP 활동 중단과 관련해 치열한 수 싸움이 예상된다.

참석자 면면도 관심을 끈다. 이번 회담에서도 지난 1차 때처럼 북측에선 6자회담 수석대표인 이용호 외무성 부상과 차석대표인 최선희 외무성 부국장 등 5명, 우리 측에서는 위성락 외교통상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과 조현동 북핵외교기획단장 등 6명이 참석할 것으로 보인다.

2차 회담 이후 북·미 고위급 대화도 곧 가시화될 전망이다. 미 행정부 내에서는 스티븐 보즈워스 대북정책 특별대표의 연내 방북 카드가 검토돼 왔다. 제3국에서 북미 고위급 접촉이 성사될 가능성도 있다.

미국은 지난 주말 2차 남북회담 소식이 전해지자 즉각 환영 입장을 밝혔다. 마크 토너 국무부 부대변인은 지난 16일(현지시간) 정례브리핑에서 “남북관계 개선을 위한 북한 조치들이 나온다면 확실히 환영할 것”이라며 “19일 베이징에서 열리는 9·19 공동성명(북한이 모든 핵무기를 폐기한다는 등의 약속을 담아 남북이 2005년 공동으로 발표한 성명) 기념 세미나에 주중 미국 대사관 관계자를 옵서버로 보낼 것”이라고 말했다.

남북 및 북미 대화가 가시화되면서 6자회담 연내 개최에 대한 기대감도 커지고 있지만, 정부는 일단 선을 그었다. 정부 당국자는 “북한의 사전조치 없이 6자회담 재개는 없다. 연내 개최는 아직 이른 감이 있다”고 말했다.

백민정 기자 minj@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