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비아 ‘항복 협상’ 결렬… 시민軍, 카다피軍 공격 앞당길 가능성
입력 2011-09-06 01:01
리비아 시민군이 5일(현지시간) 무아마르 카다피가 은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 바니 왈리드까지 진격했다고 AP통신이 보도했다.
반정부 세력은 당초 카다피 측에 오는 10일을 항복 기한으로 제시했다. 그러나 양측 간 ‘항복 협상’이 결렬됨에 따라 시민군 수천여명은 이날 바니 왈리드에 집결, 전투 대오를 갖췄다. AP는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시민군이 당장 전투를 시작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전했다.
카다피 3남 알사디는 협상이 형 세이프 알이슬람 때문에 무산됐다고 비난의 화살을 돌렸다. 알사디는 미 CNN방송과의 인터뷰에서 “(세이프가) 공격적인 발언을 해 협상을 결렬시키고 공격할 구실을 제공했다”고 원망했다.
과도국가위원회(NTC)는 카다피를 리비아에서 재판에 회부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구마 알가마티 런던 주재 NTC 조정관은 “국제형사재판소(ICC)는 지난 6개월간의 범죄행위에 대해 재판을 하려고 하지만 카다피는 42년간 리비아에서 지은 죄가 있다”고 영국 BBC방송에 말했다.
중국은 유엔의 리비아 무기 금수 조치를 어기고 카다피에 무기 판매를 시도했다고 뉴욕타임스(NYT)가 전했다. 캐나다 일간 글로브 앤 메일이 리비아 관리들의 주거주지인 밥 아카라흐에서 확보한 리비아 조달청 문건에 따르면 리비아 관리들은 7월 16일 중국에 갔으며, 중국 국영 무기업체가 2억 달러(약 2100억원) 상당의 무기 구매를 제안했다. 미사일 발사장치, 대탱크 미사일, 휴대용 지대공미사일 등이 포함됐다. 중국 측은 이 무기를 알제리 등 제3국을 거쳐 리비아에 공급할 계획이었다.
시민군 측 대변인 압둘라흐만 부신은 “중국이 카다피와 거래했다는 증거를 문서로 가지고 있다”면서 “중국 외에도 10여개 국가와 기업이 카다피에게 불법으로 제공한 무기를 전투 현장에서 확인했다”고 지적했다.
중국 외교부는 “지난 7월 카다피 측에서 중국을 방문한 것은 사실이지만, 어떤 형태로든 무기를 공급한 적은 없다”며 보도 내용을 부인했다고 AFP통신이 전했다.
김준엽 기자 snoop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