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복지문제, 당론부터 정립해야”… “주민투표 시장직 걸 사안 아니었다”
입력 2011-08-31 21:40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가 31일 오세훈 전 서울시장의 무상급식 주민투표에 대해 “너무 과도하게 정치적 의미를 부여하고 시장직까지 걸 문제는 아니었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박 전 대표는 본회의장 앞에서 기자들과 만나 “무상급식을 이미 실시하고 있는 지자체도 있고, (무상급식은) 지자체 형편과 상황에 따라 하면 되는 사안”이라며 “주민들이 결정하면 될 문제였지 정치권이 그렇게 나설 문제는 아니었다”고 말했다. 박 전 대표가 주민투표를 지원하지 않았다며 일각에서 제기한 책임론도 일축했다. 입장이 달라 지원하지 않은 것을 놓고 책임론 운운하는 것은 맞지 않는다는 것이다.
박 전 대표는 주민투표 결과를 둘러싼 정치권 행태에 안타까움도 표했다. 그는 “결과를 놓고 아전인수 격으로 확대해석해서는 안 된다”며 “복지 확충 방향은 맞지만 무상은 맞지 않고 실현 가능하게 해야 한다”고 말했다. 투표율 25.7%를 두고 ‘사실상 승리’라고 말하는 한나라당의 입장도, 서울시민들이 보편적 복지를 택했다는 민주당의 주장도 틀렸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박 전 대표는 “재정 여건을 고려해 복지의 우선순위를 정하는 게 옳다”며 “소득 보장과 사회 서비스 간 균형이 맞아야 하고 선별적, 생애주기별 맞춤 복지를 해야 소모적 복지가 아니라 선순환이 가능하며 필요한 사람에게 필요한 것이 갈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아울러 10·26 서울시장 보궐선거와 관련, “선거에 앞서 복지에 대한 당의 입장을 먼저 정리해야 한다는 당내 의견에 동의하느냐”는 질문에 “우리나라 복지에 대한 당의 방향과 정책이 재정립돼서 당론이 정리되는 게 우선 필요하다”고 답했다. 그는 선거 지원 여부를 묻자 “모든 얘기에 앞서 당론을 정해야 한다”며 “한나라당이 뭐를 주장하는 것인지 국민들이 알 필요가 있다”고 했다. 서울시장 후보로 누가 적당하냐는 물음에는 즉답을 피했다.
핵심 측근은 “당이 지금 박 전 대표가 선거 지원을 하느냐 마느냐를 놓고 논란을 벌일 게 아니라 어떤 가치를 지향할 것인지 고민하고 국민 앞에 내놔야 한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나래 유성열 기자 nar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