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 고용률 분석] 고용률 2·3위 지역은
입력 2011-08-30 18:25
전남과 경북은 고용률 2위를 다투는 지역이다. 두 곳 모두 전국 평균보다 3∼4% 정도 고용률이 높다. 그러나 가만히 들여다보면 두 지역의 실정은 확연히 다르다. 전남은 전형적인 농촌 고령화 현상을 나타내고 있지만 경북은 공업과 농업이 쌍끌이 효과를 거두고 있다.
전남 지역의 평균 고용률은 62.1%로 제주, 경북에 이어 3위를 차지했다. 하지만 제주와 마찬가지로 전남도 ‘고용의 질’에 대해 고심하고 있다.
전남발전연구원 오병기 산업경제연구팀장은 “양적 지표로만 보면 전남 지역의 실업률은 1.6% 내외로 마치 실업이 없는 것처럼 보이는 착시효과를 나타내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농림어업 등 1차 산업은 종사하고 있으면 취업으로 통계가 잡히기 때문에 실업률이 낮게 비춰지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지난해 4분기 전남 지역의 취업자는 86만9000명이다. 이 가운데 31.4%(27만3000명)가 농림어업에 종사하고 있다. 전국 농림어업 취업자 비율(6.6%)보다 5배 가까이 높은 수치다. 반면 제조업 취업자는 11.1%로 전국 평균(17.8%)보다 낮다.
오 팀장은 “정부에선 일자리 공시제를 통해 목표를 제출하도록 하고 점검하고 있는데 서류상으로 파악되는 수치보다 지역 실정에 맞는 창의적인 일자리 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전국 고용률 2위를 달리는 경북은 전남과는 사정이 다르다. 구미와 포항을 중심으로 산업단지가 지역 고용의 견인차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대구경북연구원 김용현 인재개발센터장은 “경북은 경제활동 참가율이 높고 자영업과 농업 비중이 높은 농촌 지역의 특성을 갖고 있지만 공업 도시들이 수년째 활황을 겪으며 일자리를 창출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고령층이 농업에 종사하면서 도시 지역보다 높은 고령층 고용률을 기록하고, 구미 포항 영천 경산을 중심으로 제조업체들이 청년층 일자리를 제공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지자체가 적극적으로 일자리 창출에 개입하고 있는 것도 지역 고용률을 높이는 원인으로 꼽힌다. 김 센터장은 “경북도는 최우선 도정과제가 일자리 창출이고 도청 출입문 아치에 ‘일자리! 일자리! 일자리!!’라고 써 붙일 만큼 고용에 신경을 쓰고 있다”고 말했다.
선정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