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野 통합후보’ 원칙엔 공감 “주류 꼼수 없나” 속내 복잡

입력 2011-08-30 18:22

민주당은 30일 서울 양재동 서울교육문화회관에서 의원 워크숍을 열고 9월 정기국회 대책을 논의했다. 그러나 의원들의 입과 머리를 장악한 주제는 단연 서울시장 보궐선거 향방이었다.

◇주류, 비주류, 그리고 친노(親盧)=손학규 대표는 ‘범야권 통합후보추진위원회’ 구성을 제안했다. 손 대표는 인사말을 통해 “서울시장 보궐선거는 민주진보진영 통합의 출발점”이라며 “야4당 원탁회의, ‘혁신과 통합’ 등 정당과 시민단체가 모여 통합후보추진위원회를 구성하자”고 밝혔다.

손 대표는 “당에서는 당대로 공천심사위원회를 구성해 경선을 포함한 후보자 선출절차를 밟을 것”이라며 “이기는 후보, 통합하는 후보를 만들고 다른 야당·시민사회단체와 함께 반드시 통합후보를 선출하자”고 강조했다. 민주당은 31일 공심위를 구성하고, 당 후보 선출 작업에 착수할 방침이다. 손 대표의 제안은 야권통합 후보 선출작업과 당내 후보 경선을 동시에 실시하는 일종의 ‘투 트랙’ 전략이다.

비주류는 민감하게 반응했다. 범야권 통추 구성을 원칙적으로 환영하면서도 시간끌기용 꼼수가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했다. 비주류는 주류 측이 한명숙 전 국무총리 등을 경선 없이 추대하거나, 외부인사를 전략 공천하려는 움직임이 있다고 보고 있다. 서울시장 출마를 선언한 천정배 최고위원은 성명서를 내고 “여론조사 경선 같은 무늬만 경선을 하려 한다면, 무늬만 민주당, 리서치전문정당이란 비난을 면치 못할 것”이라며 “민주당 후보 결정을 서둘러야 한다”고 말했다. 경선방식으로 모바일 투표는 허용하되 여론조사에는 반대했다.

친노계도 입을 열었다. 백원우 의원은 기자들과 만나 “한 전 총리가 8월 중순 친노 모임에 참석해 ‘정권교체를 위해서는 무슨 역할이든지 하겠다’고 말씀하셨다”며 한 전 총리의 서울시장 보궐선거 출마 가능성을 강하게 시사했다. 문재인 노무현재단 이사장이 주축이 된 ‘혁신과 통합’은 이날 서울 정동 프란치스코교육회관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전체 경선과정을 야권이 함께 주최하는 ‘통합경선’ 방식을 요구했다.

◇시골의사의 쓴 소리=시골의사로 유명한 박경철씨는 워크숍에 연사로 나와 “민주당의 가치관을 명확히 밝혀야 한다”며 “가치관을 바탕으로 공감대가 형성되면 실수를 해도 국민이 눈 감고 넘어가지만 그렇지 않으면 냉소만 남는다”고 일갈했다. 민주당의 증세 없는 보편적 복지 주장에 대해서도 “재정을 줄여서 복지가 가능하면 지난번(노무현 정권)에 왜 안 했을까”라며 실현 가능성에 의문을 제기했다.

한편 민주당은 워크숍을 통해 반값등록금 실현, 전·월세 대책, 한진중공업 2차 청문회 및 국정조사 추진 등을 정기 국회의 핵심과제로 꼽았다. 반면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비준동의안과 북한인권법의 강행처리 저지를 다짐했다.

엄기영 김원철 기자 eo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