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차 ‘2년전 악몽’ 재현 조짐… 임단협 잠정협상안 노조 총회 부결

입력 2011-08-12 18:47

기아자동차의 노사 간 임·단협 교섭이 장기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노사 간의 잠정합의안이 조합원 총회에서 부결돼 추가 협상안 마련이 간단치 않은 데다 노조 대의원 선거가 맞물려 있어 타결에 난항이 예상된다.

기아차 노사는 11일 경기도 소하리 공장에서 8차 본교섭을 가졌으나 30분 만에 결렬됐다. 노사는 지난달 27일 열린 조합원 찬반투표에서 잠정합의안이 부결된 뒤 처음으로 재교섭에 나섰지만 뾰족한 해법을 찾지 못했다.

노조는 12일 중앙노동위원회에 노동쟁의 조정신청을 내고 13일부터 특근을 중단하겠다고 밝혔다. 노조는 열흘간의 조정기간 안에 회사 측이 납득할 만한 추가협상안을 내놓지 않을 경우 총파업에 나서겠다는 입장이다.

회사 측은 다음 주 중 재협상에 나설 계획이지만 정확한 날짜를 정하지 못하고 있다. 노조 측이 요구하는 추가협상안을 마련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노사는 지난달 기본급 9만원(5.17%) 인상, 성과급·격려금 300%+700만원 지급, 자사주 80주 지급 등 역대 최대 규모의 임금인상안과 성과급·격려금 지급에 합의했으나 조합원 투표에서 46.8%의 찬성률로 부결됐다.

회사 관계자는 “노조가 더 많은 임금인상과 주간연속 2교대 실시를 요구하고 있기 때문에 추가협상안 마련이 쉽지 않다”면서 “주간 2교대를 하기 위해서는 생산물량 확보를 위한 생산일수 확대 등 대책이 먼저 마련돼야 하는데 노조가 그런 보장을 하지 않고 있어 문제”라고 말했다.

게다가 다음 달 말부터 노조가 대의원 선거에 들어가기 때문에 강경하게 나올 가능성도 없지 않다. 이 경우 새 집행부와 처음부터 다시 교섭해야 하는 최악의 상황도 발생할 수 있다.

2009년에도 기아차 노조는 사측과의 협상을 중단하고 선거체제로 전환한 적이 있다. 당시 회사는 노조 측의 19차례 부분·전면 파업으로 6만여대의 생산차질과 1조원가량의 매출 손실을 입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용웅 선임기자 ywle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