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부 물폭탄] 서초구 “산사태 위험 통보 못받았다” VS 산림청 “문자보낸 기록있다”
입력 2011-07-31 19:15
산사태 위험을 미리 알렸다는 산림청과 통보받지 못했다는 서초구가 책임 공방을 벌여 눈살을 찌푸리게 하고 있다.
산림청은 31일 “산사태 위험지 관리 시스템을 통해 산사태 발생 이전인 26일 오후와 27일 새벽 모두 4차례 문자 메시지를 발송했다”고 밝혔다. 산사태 위험지 관리 시스템에 서초구 등의 사용자(담당 공무원)가 등록한 휴대전화 번호로 26일 오후 5시24분, 7시31분, 8시24분, 27일 오전 2시30분에 각각 문자 메시지가 발송된 기록이 남아 있다는 것이다.
문자 메시지는 산사태 위험지 관리 시스템이 기상청의 기상정보를 분석해 해당 지역의 강우조건이 충족되면 자동 발송하기 때문에 지방자치단체에서 사용자가 개인정보를 제대로 등록했다면 문자 발송에 착오가 있을 수는 없다고 산림청은 설명했다. 통보를 받은 지자체에서는 시장·군수·구청장이 관할 지역의 실제 기상상황 등을 고려해 산사태 위험주의보 또는 위험경보를 발령할 수 있다. 산림청은 또 산사태 위험지 관리 시스템의 사용자 등록방법과 사용자가 인사 이동됐거나 휴대전화 번호가 바뀐 경우 개인정보를 변경하는 등의 시스템 사용법을 매년 공문으로 알리고 있다.
서초구는 우면산 산사태 이후 “산사태 예보와 관련해 산림청장의 공문은 물론 담당자들이 산림청으로부터 SMS를 받은 사실이 없다”고 밝혔다. 해당 직원은 “폭우 때 집에 들어가지 못하고 휴대전화 배터리가 떨어져 문자함을 열어보지 않았다”고 주장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우면산 산사태 피해지역 주민들은 서울시와 서초구를 상대로 집단소송을 검토하고 있다. 우면산 산사태로 3명의 사망자를 낸 서울 방배동 래미안방배아트힐 아파트 비상대책위원장인 곽창호(55)씨는 31일 “산사태와 관련해 비상대책회의를 구성했다”면서 “구의 원인 규명을 지켜본 뒤 미진하면 집단소송을 내기로 결정했다”고 말했다. 지난 30일 처음 열린 회의엔 이 아파트 주민인 정운찬 전 총리도 참석했다. 4명이 숨진 방배동 전원마을 주민 역시 서초구 등을 상대로 손해배상 청구소송을 준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선정수 유동근 기자 js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