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자 선동말라”-“대통령이 나서라”… 여야 희망버스 충돌

입력 2011-07-28 00:03

여야가 한진중공업 사태 해법을 놓고 날카롭게 대립하고 있다. 30일로 예정된 ‘희망버스’의 참가자가 최대 규모가 될 것이란 전망이 나오는 가운데 입장차가 여전하기 때문이다.

한나라당은 “노사 문제는 당사자 해결이 우선”이라는 태도를 고수하고 있다. 당 핵심 관계자는 27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정리해고 등에 대한) 노사 합의를 존중해야 하고, 부산 시민들의 여론도 생각해야 한다”며 “당이 섣불리 나서기 어렵다”고 말했다. 김무성 전 원내대표는 최고위원·중진의원 연석회의에서 “3차 희망버스가 예정되면서 영도구민을 비롯한 부산 시민들의 분노가 높아지고 있다”며 “근로자 선동은 정치인이 해서는 안 될 일”이라고 야당의 행태를 맹비난했다.

당의 적극 개입을 주장하는 목소리도 없지 않다. 해외에 체류하면서 국회 출석을 거부하고 있는 조남호 한진중공업 회장에 대해 불쾌해하는 기색도 역력하다. 당 노동위원장인 이화수 의원은 “부도덕한 기업을 그대로 놔둬선 안 된다”며 “고용노동부나 당에서 적극적인 해결 의지를 보여줘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야당이 주장하는 한진중공업 청문회도 받아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 의원과 이주영 정책위의장, 이범관 환경노동위원회 간사는 29일 회동을 갖고 대책을 논의할 계획이나 뾰족한 수를 내놓을지 미지수다.

민주당은 이명박 대통령이 직접 나서 사태를 해결하라고 촉구하며 정부·여당을 싸잡아 성토하고 있다. 손학규 대표는 최고위원회의에서 “대통령과 민생 회담을 한 지 한 달이 된 지금 무능한 것인지, 신의가 없는 것인지 묻지 않을 수 없다”면서 “이번 사태는 이명박 정부의 친재벌 정책의 결과”라고 지적했다.

정동영 최고위원은 “조 회장이 국내에 들어왔다는 소리가 있는데 어제 하루 종일 (소재) 파악을 해도 안 된다”며 “국회가 재벌 대기업 사주 한명에 농락당해도 되는 것이냐”고 울분을 토했다. 그는 기자회견을 별도로 열어 “이번 사태 등에서 드러난 노동 현장의 용역 폭력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경비업법’ 개정안을 발의했다”고 밝혔다. 개정안에는 무허가 경비업자에게 용역경비를 의뢰하거나 조직폭력배가 용역경비에 투입되는 행위를 금지하는 내용이 담겨 있다.

손 대표의 3차 ‘희망버스’ 참여 여부를 놓고 당내 갈등도 빚어지고 있다. 이종걸 의원은 손 대표에게 보낸 공개편지에서 “희망버스에 동승해 야권연대의 불씨를 되살리고 내년 총선과 대선 승리의 발판을 마련해 달라”고 촉구했다.

김호경 김나래 기자 nar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