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대전 ‘물가 고통’ 가장 크다… 서울·수도권은 전국 평균 4.3%보다 낮아

입력 2011-07-24 18:29

올 상반기 지방이 수도권보다 더 큰 ‘물가 충격’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전, 부산, 울산의 ‘물가 고통’이 심했다. 대전과 부산은 물가 상승률이 5%를 웃돈 달이 석 달이나 된다. 울산도 2월부터 두 달 연속 5%를 넘었다.

지방과 달리 수도권은 안정적인 모습을 보였다. 서울과 인천은 3%대 상승률을 보인 달이 절반에 이른다. 물가 상승률이 가파르다는 것은 체감물가가 그만큼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지방이 절대적 가격 수준은 수도권보다 낮을지 몰라도 느끼는 물가 충격은 훨씬 큰 것이다.

24일 국민일보가 올 1∼6월 16개 광역시·도의 소비자물가 동향을 분석한 결과 수도권(서울, 인천, 경기)과 지방의 물가 움직임이 확연하게 달랐다. 상반기 평균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전국 평균(4.3%, 전년 동기 대비 상승률)보다 낮은 지역은 수도권뿐이었다. 서울과 인천은 4.0%, 경기는 4.2%에 그쳤다. 반면 지방은 물가 충격을 고스란히 받았다. 광주(4.3%), 충남(4.3%), 충북(4.4%)이 평균치에 근접했을 뿐 나머지 시·도의 물가는 고공비행했다.

대전, 부산, 울산은 두드러졌다. 분기별 물가 상승률을 보면 1분기에 대전 5.1%, 부산 5.0%, 울산 5.0%에 이르렀다. 2분기에는 대전 4.9%, 부산 4.9%, 울산 4.6%였다.

지방의 물가 고통이 더 심각한 이유 중 하나는 왜곡된 농축수산물 유통구조다. 통계청 관계자는 “식료품, 신선식품은 수도권부터 공급되는 측면이 있다. 수도권은 공급량이 부족해도 수급이 비교적 원활해 가격 변동 폭이 상대적으로 작다”고 했다. 금융위기 이후 부족했던 주택공급에 따른 집값 상승, 외식 등 개인서비스 업체의 편승·담합인상, 지하철·버스·상하수도 등 공공요금 인상도 지방 물가에 더 치명적이었다.》관련기사 3면

김찬희 선정수 조민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