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올림픽 정치적 이용 당장 그만두라

입력 2011-07-13 17:51

언필칭 ‘평화 올림픽’을 들먹이며 국제올림픽위원회(IOC) 규약과 기술적 문제점들을 무시한 채 올림픽을 정치적으로 이용하려는 남한 내의 일부 남북 공동개최 주장에 북한도 가세했다. 장웅 북한 IOC위원은 13일 평창 동계올림픽의 남북 공동개최를 바란다고 말했다. 손학규 대표를 비롯한 민주당 인사들이 올림픽 유치에 성공하자마자 공동개최를 들고 나온 데 따른 북한의 첫 공식 반응이다. 참으로 손발이 척척 맞는다는 인상을 지울 수 없다.

북한이 남한에서 열리는 올림픽의 공동개최를 요구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88 서울올림픽 때도 그랬다. 2009년 발굴된 옛 소련의 외교문서에 따르면 북한은 개최 2년 전인 1986년 황장엽 당시 노동당 국제담당비서를 소련에 보내 남북한 공동개최를 소련이 적극 지원해줄 것을 요청했다. 공동개최가 안 되면 서울 올림픽을 보이콧할 것이라고 남한을 압박해 달라는 것이었다. 아울러 끝내 공동개최가 무산되면 개최도시인 서울을 빼고 ‘24회 올림픽’을 공식 명칭으로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런 사실은 무엇을 말하는가? 북한의 올림픽 공동개최 요구가 민주당 인사들 주장대로 남북한 화합과 평화를 위한 게 아니라 ‘남한 단독 올림픽’의 발목을 잡는 게 목적임을 보여준다. 이번에도 ‘남한 단독 올림픽’에 재를 뿌리려는 속내는 마찬가지로 볼 수 있다. 북한 정권으로서는 ‘거지가 득실거리는’ 남한이 올림픽을 두 차례나 단독으로 치른다는 것을 주민들이 알까봐 두려울 수밖에 없다.

한 가지 더 속셈이 있다면 올림픽을 정치적으로 이용하려는 술책이다. 남북 공동개최를 원한다는 발언에 이어 “하지만 남북 간의 정치·군사적 상황이 좋지 않다”며 “그것을 개선하지 않으면 올림픽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고 한 장 위원의 말은 평창 동계올림픽을 제대로 치르려면 현 대북정책을 수정하라는 위협으로 읽힌다. 그런 북한은 두말할 것 없다. 북한보다 앞장서 공동개최를 주장하는 민주당 인사 등 일부 세력은 ‘세계평화의 전환점’ 같은 황당한 수사를 내세워 비정치적이어야 할 올림픽을 정치로 물들이려는 시도를 당장 그만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