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구제역 매몰지 관리 말로만 “침출수 정밀조사는 바빠서 못해”
입력 2011-07-06 18:19
최소 12곳의 구제역 가축 매몰지에서 침출수 누출 정황이 포착됐다는 본보 보도(6일자 1면 참조)에 대한 후속 조치로 환경부가 6일 전국 지방자치단체에 침출수 관리를 강화하라고 지시했다. 하지만 침출수 누출 여부를 확실히 밝혀줄 정밀 분석에 나서지 않아 책임회피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환경부는 관내에 구제역 가축 매몰지를 보유한 전국 75개 지자체에 “관측정 조사 결과 침출수 누출이 우려되는 매몰지는 침출수 수거 횟수를 늘리고, 필요할 경우 매몰지를 이설하라”고 지시했다. 또 “배수로를 정비하고 매몰지에 비닐덮개 등을 설치해 빗물이 흘러들지 않도록 조치하라”고 당부했다. 이와 함께 여태껏 확보하지 못했던 각 지자체의 관측정 수질검사 자료를 요구하는 등 대책 마련에 나섰다.
하지만 침출수 누출 여부를 밝혀줄 정밀 조사는 고려하지 않고 있어 근본적인 문제 해결을 회피하고 있다. 환경부 관계자는 “수질 검사 업무를 담당하는 국립환경과학원에 업무가 폭주해 침출수 누출 여부를 판단할 추가 검사를 수행할 여력이 없다”며 “정밀 분석을 의뢰할 계획이 없다”고 말했다. 하지만 침출수 누출 정황이 뚜렷해진 상태에서 정밀 분석을 미루는 것은 책임을 회피하고 국민의 불안감만 키우는 것이라는 목소리가 높다.
경기도 파주시를 비롯해 다수의 지방의회에선 본보 보도 이후 해당 지역의 관측정 수질검사 결과를 공개하라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일부 지자체는 정보공개법이 정한 심의회 절차를 거치지 않고 독단적으로 정보 비공개를 결정한 정황이 포착됐다. 환경운동연합 등 환경단체들도 분석에 돌입했다.
선정수 기자 js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