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등장 이후 北 고위급 잇단 숙청 1990년대 말 ‘심화조 사건’과 닮은 꼴
입력 2011-06-27 00:20
북한에서 최근 잇따르는 것으로 관측되는 고위층 인사에 대한 숙청이 1990년대 후반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권력 장악 과정에서 벌어진 ‘심화조 사건’과 흡사하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심화조 사건은 97∼2000년 일어난 대규모 숙청을 말한다. 인민보안부(당시 사회안전성·남한의 경찰청)에 조직된 ‘심화조’가 서관희 당시 농업담당 당 비서를 시작으로 문성술 당 조직지도부 본부당담당 책임비서, 서윤석 평안남도 당 책임비서 등 수천명의 당 간부를 제거했다. 이 사건을 기점으로 김 위원장은 고(故) 김일성 주석의 후계자 지위에서 벗어나 최고지도자로 올라섰다는 평가를 받았다.
김정은도 비슷한 전철을 밟고 있다는 관측이다. 올해 초 실세 유경 국가안전보위부 부부장은 간첩죄로 공개 처형됐다. 지난해에는 2009년 화폐개혁을 지휘한 박남기 당 계획재정부장과 문일봉 재정상, 2004년 용천역 폭발사고의 책임을 이유로 김용삼 전 철도상이 숙청됐다. 또한 지난해 사망한 이용철 당 조직지도부 군사담당 제1부부장과 이제강 당 조직지도부 제1부부장은 각각 심장마비와 교통사고로 사망했다고 북한 당국이 공개했지만 석연치 않다는 지적이 많다.
그러나 일련의 고위층 사망사건들을 심화조 사건과 연결시키기에 무리라는 반론도 나온다. 대규모 숙청이 진행 중이라면 김 위원장의 측근도 포함될 수밖에 없는데 김 위원장이 살아 있는 동안에는 불가능하다는 지적이다.
이도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