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운찬 동반성장위원장 “대기업·협력사 손실 분담도 검토”

입력 2011-06-21 18:23

정운찬 동반성장위원장은 21일 대기업과 중소 협력기업 사이에 이익을 공유하는 것 외에 손실을 분담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정 위원장은 이날 서울 태평로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한선국가전략포럼 초청강연에서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협약을 통해 위험분담률을 미리 정해두고 대기업의 손실액(또는 이익감소액)이 발생하면 협력사도 그 손실을 분담하는 ‘위험분담금 사후 정산제도’를 검토했다”고 말했다.

정 위원장은 “대기업과 협력사 간 이익-위험공유 협약을 통해 협력사가 대기업의 위험을 분담하고 협력사의 기여분도 정당하게 보상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또 “협력사업이 성공한 경우 협력사에 지급되는 성공보수 중 일부를 ‘이익공유적립금’으로 예치해두고 유사시에 인출하도록 해 협력사의 위험관리를 제도적으로 뒷받침하는 방안도 검토됐다”고 전했다.

그는 “이 방안은 적립금이 충분히 예치되면 적립금의 일부를 2차 이하 협력사의 기술개발과 인력개발금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면서 “물론 이 모든 방안은 대기업과 협력사의 합의로 시행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 위원장은 “한국은 동반성장 문화 형성 초기 단계인 만큼 제조업, 건설업의 경우 가장 낮은 단계인 목표초과이익공유제에서 시작해 문화를 정착시킨 후 점차 높은 단계의 이익공유제 모델로 이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정 위원장은 기자들과 만나 “최근 허창수 회장(GS 회장 겸 전국경제인연합회 회장)을 만났다”며 “잘 해보자고 했다”고 말했다.

문수정 기자 thursda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