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료 미환급금 아직도 123억”
입력 2011-06-14 18:30
소비자가 통신서비스를 해지한 뒤 돌려받지 못한 돈이 123억원에 이른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전병헌 민주당 의원은 14일 “유·무선 통신서비스 해지 이후 이용요금 과·오납, 보증금 및 할부보증보험료를 찾아가지 않아 발생하는 통신사의 미환급 요금이 123억원에 이른다”고 밝혔다. 미환급액은 통신서비스를 해지하는 시점에서 사용요금을 정산한 뒤 이후 과납한 요금이 있거나 미수령 선납금, 보증금 등이 확인돼 통신사가 소비자에게 돌려주는 돈이다.
전 의원에 따르면 지난 4월 기준 이동통신 미환급 금액은 KT 17억, SK텔레콤 57억, LG유플러스 19억원이다. 유선통신 부문은 KT 15억, SK브로드밴드 11억, LG유플러스 2억원으로 나타났다.
전 의원은 미환급 금액이 2009년부터 꾸준히 감소해왔지만 올해 들어 그 추세가 둔화되기 시작했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12월과 비교해 미환급금이 늘어난 곳은 3곳으로 KT(무선부문) 2억9000만, SK브로드밴드 7000만, LG유플러스(유선부문) 3억1000만원이었다.
전 의원은 “소비자들의 주의가 낮은 탓도 있겠지만 방송통신위원회와 통신사들이 미환급금을 돌려주기 위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벌여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국통신사업자연합회(KTOA) 홈페이지에 들어가면 미환급액 정보를 조회하고 환급을 신청할 수 있다.
KTOA에 따르면 이날 오후 4시30분까지 미환급금 정보조회 사이트 접속 건수는 47만6000여건에 이른다. 이 가운데 332명이 환급을 신청해 1인당 평균 7960원씩 되돌려 받았다.
권지혜 기자 jh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