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국민에게 희망주는 영수회담이어야

입력 2011-06-13 18:02

민주당 손학규 대표가 13일 이명박 대통령에게 ‘민생경제’를 의제로 하는 영수회담을 제안한 데 대해 청와대가 수용의사를 밝히면서 대통령과 제1야당 대표 간 공식대좌가 3년 3개월여 만에 이뤄질 것 같다.

손 대표가 조건 없이 영수회담을 제안하고 이를 청와대가 수용한 것에 대해 환영한다. 만시지탄(晩時之歎)이다. 이번 영수회담에서 국민들의 가슴을 무겁게 내리누르는 대학 반값 등록금 문제를 포함해 고물가, 실업, 저축은행 부실, 노사문제,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가계부채 등 난마처럼 얽힌 현안들을 깊이 있게 논의해야 한다.

손 대표는 “국민은 대통령과 야당 대표가 나라의 어려움을 앞에 놓고 흉금 없이 소통하는 모습을 보기 원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번 만남이 삶에 지친 국민에게 희망을 주고, 만나는 데 의미를 부여하는 형식적 만남보다는 국민을 위한 결단에 합의하는 내용 있는 자리가 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백번 옳은 이야기다. 손 대표가 이번 영수회담에서 꼭 자신의 말을 실천하길 기대한다.

청와대도 이번 영수회담에 임하는 자세가 달라야 한다. 청와대와 야당은 영수회담 후 꼭 서로 다른 말을 해 국민을 혼란스럽게 했었다. 청와대는 과거처럼 “야당 이야기를 들어 보겠다”는 소극적 태도를 버리고 야당이 제기하는 문제에 대해 현실적인 해법과 대안을 내놓는 적극적인 자세로 임해야 한다.

김두우 홍보수석은 “청와대는 늘 열려있다”며 “민생 문제에 대해 민주당이 진정성 있는 접근을 해 줄 것을 기대한다”고 답했다. 청와대가 야당의 진정성을 기대하기보다 적극적이고 전향적인 자세로 회담을 주도할 것을 주문한다.

영수회담이 개최된다고 해서 얽히고설킨 현안들을 쾌도난마(快刀亂麻)식으로 풀어낼 것을 기대하지 않는다. 양측 간 더 큰 견해차를 확인하는 자리가 될지 모른다. 그래도 만나야 하고 서로 노력해야 한다. 그게 국민에 대한 정치인들의 도리다. 정파적 이익도 중요하겠으나 국민을 위해 대승적 차원에서 머리를 맞대는 영수회담이 되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