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탈북 전문가의 국정 참여 늘어야
입력 2011-06-08 17:36
정부가 통일부 산하 통일교육원장에 탈북자 출신 조명철(5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을 임명했다. 통일교육원장은 정부 직제 상 고위공무원단 가급(옛 1급)에 해당하는 고위 공직이다. 2만명에 이르는 탈북자 중 정부 고위직에 임명된 경우는 조 원장이 처음이다. 통일교육뿐 아니라 탈북자들의 처우와 관련해서도 획기적인 인사라고 할 만하다.
통일교육이 북한 현실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바탕으로 이뤄져야 하는 것임을 고려할 때 북한 출신 전문가를 책임자로 임명한 것은 바람직한 시도다. 임기 2년의 개방형 직위인 통일교육원장 공모에는 8명이 지원해 6명이 면접을 봤고, 역량평가와 임용심사를 거쳐 조 원장이 선발됐다고 한다. 경험과 전문성에서 수긍이 가는 데다 낙하산식 임명이 아니라 실력으로 선발된 점이 돋보인다.
평양 출신 조 원장은 김일성종합대학 경제학부 교원으로 있다가 35세 때인 1994년 한국으로 넘어왔으며 이후 대외경제정책연구원에서 연구 활동에 전념해 왔다. 통일국제협력팀장, 국제개발협력센터 소장 등을 역임하며 북한 체제에 대한 생생한 경험과 풍부한 지식으로 북한 동향을 깊이 있게 분석해 온 최고의 북한 전문가 가운데 한 사람으로 꼽힌다. 탈북자 중에는 조 원장과 같은 수준의 경력과 실력을 갖춘 전문가급 인력이 더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에게도 적재적소의 국정 참여 기회를 줘야 한다.
탈북자들에게 공직은 높은 벽이다. 탈북자 출신 공무원은 현재 통일부 1명, 지방자치단체 14명에 불과하다. 그것도 모두 계약직 실무 담당자다. 1983년 미그기를 몰고 월남한 이웅평씨가 공군 대령으로 근무했지만 특수한 경우다.
통일교육원장 인사는 탈북자들도 공직에서 대한민국을 위해 기여할 수 있음을 알리는 희망의 메시지다. 앞으로 더 많은 탈북 엘리트들에게 공직을 개방해야 한다. 탈북자 공직 기용은 북한 주민들에게도 희망이 되어 통일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