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發 땅값 상승 심상찮다… 과학벨트 확정 등 개발호재 많아

입력 2011-06-06 17:48


토지시장 분위기가 심상치 않다. 지방을 중심으로 땅값 상승폭이 커지자 업계에선 부동산 시장 회복의 신호탄이란 성급한 해석까지 나온다. 그러나 개발호재에 편승한 투기 심리에 불과할 수 있어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한다.

요즘 대전 유성구 일대는 부동산 시장의 진앙으로 떠올랐다. 과학비즈니스벨트의 거점지구(신동·둔곡동 일대)로 지정된 이후 대전 대덕밸리 주변 땅값은 급등세다. 이달 초 현재 유성구 인근의 대동지구 및 원내동 일대 대지나 논밭 등은 지난달 초보다 20∼60% 뛰었다.

부동산 시장의 선행지표로 꼽히는 경매시장에서도 마찬가지다. 5일 경매정보업체 지지옥션에 따르면 지난달 토지경매에 나선 응찰자 수는 6521명으로 지난 4월(5864명)에 비해 12.1% 늘었다. 주거시설 경매 응찰자 수의 변동률이 -9.7%로 급감한 것과 대조적이다. 낙찰가 총액 역시 3491억원으로 전달(2550억원)에 비해 26.9%나 급증했다.



지지옥션 남승표 선임연구원은 “1차적으로 지난달 들어 토지경매 물건이 증가한 이유도 있지만 주택경매시장이 실수요자 위주로 재편되면서 투자자들이 토지 쪽으로 관심을 돌린 것 같다”고 분석했다.

특히 서울 등 수도권보다는 지방의 땅값 상승폭이 두드러진다. 세종시 건설 및 과학벨트지구 확정, 지방공공기관 이전 등 지방 개발정책이 호재로 작용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지난달 말 정부가 서울시 면적(605㎢)의 3.5배에 달하는 땅(2154㎢)을 토지거래허가구역에서 제외시킨 점도 토지시장 열기에 불을 지핀 요인으로 꼽힌다.

올해 개별공시지가의 경우 시·군의 땅값 상승률은 3.14%로 전국 평균(2.57%) 및 수도권 지역 상승률(2.32%)을 훌쩍 뛰어넘었다.

지난달 수도권 이외 지역의 경매 거래액 역시 전국 거래 총액의 30.2%로 전달(25.1%)보다 5.1% 포인트 늘었다. 수도권에서도 경기도 하남시와 시흥시 땅값이 각각 0.46%와 0.34% 상승하는 등 보금자리주택을 비롯한 개발호재가 있는 지역은 크게 올랐다.

정부는 현재의 부동산 시장을 감안할 때 땅값 상승폭은 제한적일 것으로 보고 있다. 실거래가 신고제 등 투자심리 차단 효과가 큰 규제도 여전히 남아 있기 때문이다. 또 각종 개발지역은 이미 지가상승분이 어느 정도 반영돼 있는 데다 투기조짐이 보이면 거래허가구역으로 재지정될 수 있다.

하지만 중·장기적으로 토지시장이 불안해질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 내년에 예정된 총선과 대선 등 두 차례 선거가 불씨가 될 수 있다. 부동산컨설팅 업체 유앤알컨설팅 박상언 대표는 “토지의 경우 작은 호재라도 민감하게 반응하는 만큼 단기 급등에 따른 시장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면서 “특히 선거를 앞두고 ‘기획부동산’ 같은 투기세력이 개발공약을 내세우며 활개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정부가 방심해선 안 된다”고 조언했다.

박재찬 기자 jeep@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