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벨트 입지 발표] 영·호남 “법적 대응” 격앙… ‘충청’ 빼고 전국이 들끓는다
입력 2011-05-16 21:36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과학벨트)를 둘러싼 지방자치단체들 간의 유치전이 일단락되면서 지자체들의 희비가 엇갈렸다.
대전을 포함한 충청권은 정부의 결정을 대체로 환영하는 분위기였지만 다른 지자체들은 일제히 정부를 향해 칼을 겨눴다.
충청권 지자체들은 이미 정부의 공식 발표 전 과학벨트 입지가 대전 대덕지구로 확실시됐기 때문에 여유롭게 정부의 결정을 받아들였다.
과학벨트 사수 충청권 범대책위원회는 “지역 간 갈등 해결 차원에서 정부 내용을 전향적으로 수용한다”고 밝혔으며 대전시와 충남도도 “정부 결정은 당연한 결과”라는 입장을 보였다.
반면 과학벨트 유치를 위해 힘을 모았던 경북·울산·대구는 반정부 투쟁을 예고하는 등 격앙된 반응을 보였다. 단식과 삭발, 혈서 쓰기 등도 마다하지 않았던 경북과 포항, 경주, 구미는 법적 대응은 물론 원전폐쇄와 방폐장 건설 중단까지 검토하고 있다.
지난 13일부터 무기한 단식에 들어간 김관용 경북지사는 “정부는 이번 결정을 즉각 백지화해야 한다”며 “이 요구가 묵살될 경우 행정소송은 물론 가능한 모든 수단을 동원해 끝까지 투쟁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대구와 울산은 경북만큼 격렬하게 반발하지는 않았지만 성명 등을 통해 정부의 결정을 비판하면서 법적으로 대응할 것이라는 의사를 밝혔다.
대구시의회는 성명을 통해 “정부가 또 한번 650만 경북, 울산, 대구 시·도민을 기만했다”며 불편한 심경을 토로했다. 경북·울산·대구 공동유치추진위원회는 과학벨트 선정과 관련해 전면적인 정보공개 청구와 함께 법적대응에 나설 방침이라고 밝혔다.
광주와 호남권도 정부의 결정에 반발했다. 강운태 광주시장은 “과학벨트 입지를 대전 대덕으로 하겠다는 발표는 원천 무효”라고 주장했다. 호남권 유치위 공동위원장인 민주당 김영진 의원도 “심사의 전 과정이 공정하고 객관적으로 이뤄졌는지에 대한 진상규명과 청문회를 추진할 것”이라며 정부 결정을 비난했다. 김 의원은 이날 의원회관 사무실에서 단식농성에 돌입했다. 앞서 윤봉근 의장 등 광주시의회 의장단 3명과 상임위원장 5명은 정부 발표에 반발해 단식농성에 들어갔다.
경남과 창원은 아쉽지만 결과를 받아들인다는 입장을 보였다. 경남도는 “정부와 과학벨트위원회가 법적 요건과 절차에 따라 별다른 하자 없이 결정한 것으로 판단한다”고 수긍했다.
창원시는 “당초 원칙을 벗어난 지역적 배분을 고려한 비객관적 결정”이라는 불만을 나타냈으나 반발의 수위는 높지 않았다.
전국종합=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