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재확산에 따라 정부가 대학수학능력시험을 100일 앞둔 25일 수도권 지역 유치원과 초·중·고교의 등교수업을 원격수업으로 전격 전환하면서 올해 수능이 제대로 치러질지 우려되고 있다.
교육부는 오는 12월 3일 수능을 예정대로 치르겠다고 수차례 강조해 왔지만 2학기 개학과 동시에 수도권에서 등교수업이 원격수업으로 전환돼 수험생의 혼란이 불가피해 보인다.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이날 수도권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 강력 조치에 따라 ‘수도권 유·초·중·고 원격수업 전환’을 발표했다. 사실상 교육 부문의 ‘사회적 거리두기 3단계’인 셈이다.
다만 고3은 원격수업 전환 대상에서 제외했다. 고3 수험생까지 등교를 중단하면 입시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한 것으로 풀이된다.
고3과 재수생, 학부모 등 교육계에서는 수능이 12월 3일 예정대로 치러질 수 있을지 불안감이 커지는 분위기다. 교육부는 앞서 지난 1학기에 코로나19 확산으로 등교가 수차례 연기되자 애초 11월 19일로 계획된 2021학년도 수능을 2주 뒤로 미룬 바 있다.
교육부는 이후 수능 연기설이 나올 때마다 12월 3일에는 예정대로 시행하겠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그렇지만 전면 원격수업이 유지되고 올가을과 겨울에 코로나19가 더 확산한다면 수능을 과연 제대로 치를 수 있을 것이냐는 의문이 제기된다.
이에 유 부총리가 최근 기자회견에서 언급한 코로나19 대유행 시 비상 입시 대책인 ‘플랜B’가 주목받고 있다. 유 부총리는 “수능을 예정대로 준비하겠다”면서도 “그 이후의 여러 가지 상황과 관련해서는 종합적인 판단을 하고, 필요하면 ‘플랜B’도 준비한다”고 말했다.
앞서 교육부는 지난 4일 ‘코로나19 대응 2021학년도 대입 관리 방향’을 발표하면서 코로나19 확진자나 자가격리자도 병원이나 별도 시험장에서 수능을 볼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코로나19 사태가 걷잡을 수 없이 번지는 경우 수능 재연기나 추가 방역 강화 방안 등 비상 대책이 제시될 것으로 보인다.
권남영 기자 kwonny@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81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