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질랜드에서 한국인과 중국인들에 의한 담배 밀수가 성행하고 있고 현지 언론이 보도했다.
15일(현지시간) 뉴질랜드 매체 스터프는 흡연자들이 소셜미디어 메시지나 길거리 접촉 등으로 가게에서 구매하는 가격의 약 절반 값에 밀수 담배를 사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 매체는 세관 당국의 말을 빌려 마약 거래를 하는 범죄 조직까지 담배 밀수에 손을 뻗고 있다고 전했다. 뉴질랜드의 담뱃값이 비싼 반면 아시아 국가들은 상대적으로 저렴한 편이어서 뉴질랜드가 담배 밀수 조직의 주요 표적이 된다는 게 세관 당국의 설명이다.
그러면서 한국인과 중국인들이 담배 밀수를 주도하고 있지만, 점차 다국적 범죄 조직 등도 마약 거래와 함께 담배 밀수에 뛰어들고 있다고 밝혔다.
매체는 취재를 하는 과정에서 카카오톡에 담배 판매를 광고한 한국인들과 두 차례나 길거리에서 접선할 수 있었다고 보도했다. 그들이 파는 담뱃값은 한 보루에 175달러(약13만5000원), 한갑에 17.5달러(1만3500원)로 뉴질랜드 가격인 갑당 31달러(약 2만4000원)와 비교하면 절반 수준으로 낮았다.


매체에 따르면 오클랜드 시내 데니스 레스토랑 밖에서 담배 밀수를 하던 한 남성과 접촉했을 당시 그가 몰고 온 차량 뒷좌석에 한국어로 적힌 말보로 담배가 널려 있었다. 스스로를 뉴질랜드 시민권자라고 소개한 이 남성은 자신도 카카오톡을 통해 접촉한 다른 한국인에게 현금을 주고 담배를 샀다고 주장했다.
취재 도중 남성에게 담배를 사기 위해 접촉하는 여성도 직접 볼 수 있었다고 매체는 전했다.
담배 밀수를 하던 또 다른 한국인 남성과 접촉하려다 실패하기도 했다. 한국 편의점 부근에 나타난 이 남성은 자신이 들고 온 플라스틱 백에 담긴 담배가 친척에게 주기 위해 외국에서 사 온 선물이라고 밝혔다. 이어 자신은 현재 워킹홀리데이 비자로 뉴질랜드에 와 있다고 설명한 뒤 급히 자리를 떴다.

뉴질랜드 세관의 브루스 베리 수사담당관은 중국인과 한국인 교민 사회가 불법 거래의 주요 공급원으로 소셜미디어를 공공연히 사용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담배 밀수가 심각한 범죄가 아니라는 인식이 만연하다는 점을 지적했다.
뉴질랜드 정부는 오는 2025년까지 성인 흡연율을 5% 이하로 떨어뜨려 사실상 금연 국가를 실현한다는 목표 아래 매년 담뱃세 10% 인상, 공공장소에서의 금연 등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김영철 인턴기자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