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재인 대통령과 아세안 회원국 정상들이 26일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자유무역 협력, 인적 교류 확대 등 미래 청사진을 담은 ‘한‧아세안 공동 비전성명’을 발표했다. 함께 채택된 공동의장 성명에서는 구체적으로 북한의 미사일 발사 자제와 평화적인 대화를 촉구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 ‘2019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를 태국 쁘라윳 짠오차 총리와 공동의장으로 주재했다. 각국 정상들은 ‘한·아세안 30&30(제1세션)’과 ‘지속가능한 번영을 위한 연계성 증진(제2세션)’을 주제로 의견을 나눴다.

문 대통령은 쁘라윳 총리와 공동 언론발표를 통해 “아세안의 발전이 곧 한국의 발전”이라며 ‘사람 중심의 공동체’ ‘상생 번영의 혁신 공동체’ ‘평화로운 동아시아 공동체’라는 세 가지 미래 청사진을 제시했다.
문 대통령은 “아세안과 한국은 인적ㆍ문화적 교류를 확대하고 ‘사람 중심의 공동체’를 실현하기로 했다”며 한‧아세안 인적 교류 확대, 한국 체류 아세안 국민들의 편익 증진 등을 약속했다.
또 ‘상생 번영의 혁신 공동체’와 관련, “전 세계적으로 보호무역주의에 대한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우리는 자유무역이 공동번영의 길이라는 것을 재확인했다”며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의 협정문 타결을 환영하고, 한‧아세안 FTA를 바탕으로 자유무역을 지켜나가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또 4차 산업혁명 협력을 위해 과학기술 협력센터를 아세안에 설립하고 스타트업 파트너십도 강화하기로 했다.
문 대통령은 또 ‘평화로운 동아시아 공동체’와 관련, “아세안은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 구축을 위해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 등 아세안 주도 지역 협의체를 활용해 한반도 평화와 안정을 위해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며 “특히 우리 정부의 비무장지대 국제평화지대화 구상을 지지하고 공동연락사무소와 같은 구체적인 방안을 논의했다”고 말했다. 구체적인 협력 계획을 담은 공동의장 명의 성명에는 북한의 추가적인 미사일 실험 자제를 촉구하는 내용이 담기기도 했다.
문 대통령은 앞서 회의 모두 발언에서 “21세기는 ‘아시아의 시대’다. 자연, 사람, 국가 누구도 배제하지 않고 포용하는 ‘아시아의 정신’은 아시아가 전 세계에 제시하는 지혜”라며 “‘아시아 정신’을 공유한 한·아세안이 하나로 뭉친다면, 새로운 도전을 얼마든지 성공으로 이끌 수 있다”고 역설했다.
부산=임성수 기자 joylss@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