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0억 위안(1조6566억원) 어치를 판매하는데 1분36초, 1000억 위안(15조 5660억원)을 돌파하는데 1시간 3분 59초. 세계 최대 규모의 쇼핑 이벤트인 알리바바의 올해 광군제(光棍節) 쇼핑 축제 판매 기록이다.
알리바바는 11일 저장성 항저우시 본사에 마련된 프레스룸에서 ‘11·11(쌍십일) 쇼핑 축제’ 개시 1분36초 만에 거래액이 100억 위안을 넘어섰다고 밝혔다. 지난해에는 100억위안이 거래되는데 2분 5초가 걸렸다.
거래액은 12분 49초 만에 500억 위안을 넘어서 지난해 기록(26분 3초)을 크게 앞당겼다. 또 1시간 3분 59초 만에 1000억 위안(약 16조5660억원)을 넘겼다. 지난해에는 같은 금액을 달성하는데 1시간 47분 26초가 걸렸다.
역대 하루 전체 거래액도 쉽게 갈아치웠다. 2014년 하루 전체 거래액(571억 위안)은 올해 17분 6초만에 돌파했다. 2015년 하루 전체 거래액인 912억 위안을 넘어서는데도 1시간 1분 32초 밖에 걸리지 않았다.
이는 미·중 무역전쟁 여파로 경기둔화를 겪고 있는 중국이 거대한 내수시장의 잠재력을 보여주면서 여전히 소비 활력이 살아있음을 보여주는 계기로 평가된다.
앞서 알리바바 측은 이날 하루동안 지난해보다 1억명 더 많은 총 5억명의 고객이 자사 플랫폼을 이용해 쇼핑할 것으로 예상했다.
올해 알리바바의 광군제 쇼핑축제에서는 20만개 브랜드가 참여한 가운데 100만개 이상의 새 상품을 판매했다. 알리바바에서 팔린 할인 상품은 화장품, 의류, 가구, 장난감 등 일반 상품에서부터 상하이 디즈니랜드 입장권, 도쿄 올림픽 티켓이 포함된 고가의 일본 여행 패키지 상품, 주택까지 다양했다.
상품을 판매하는 기술도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알리바바는 순간적으로 막대한 거래와 결제를 처리하는 시스템을 갖춰 이날 새벽 1초에 최대 54만4000건에 달하는 거래를 처리했다.
알리바바 플랫폼에서는 판매자가 동영상 라이브 방송을 하면서 소비자들에게 물건을 파는 라이브 방송이 수만건 진행됐다. 유명 쇼핑 호스트인 웨이야가 진행하는 개인 라이브 방송 시청자는 4100만여명에 달했다. 알리바바의 라이브 방송 시스템은 판매자들이 스마트폰으로 자신만의 홈쇼핑 채널을 만들어 소비자와 직접 소통하면서 판매할 수 있다.
화장품 브랜드의 온라인 매장에서는 소비자들이 자신의 얼굴 사진 위에 제품을 실제로 발라보는 것 같은 효과를 체험할 수 있도록 증강현실(AR) 기능도 도입했다. 알리바바가 개발한 스마트 스피커인 ‘티몰 지니’에서는 올해부터 음성으로 쇼핑할 수 있는 기능이 추가됐다.
알리바바는 10일 밤 상하이 메르세데스 벤츠 아레나에서 세계적인 팝 스타인 미국의 테일러 스위프트 등을 초청해 화려한 전야제 공연을 열었다. 이날 공연에는 중국의 피아니스트 랑랑과 가수 겸 배우 GEM, 일본의 유명한 성우 하나자와 카나 등도 참여했다.
알리바바는 2009년부터 11월 11일 쇼핑 축제를 시작했다. 중국에서 연인이 없는 싱글의 날이라는 뜻의 광군제(光棍節) 또는 ‘솽스이’(雙十一·쌍십일)로 불리는 이날을 쇼핑 축제일로 탄생시켰다.
첫해 5000만 위안(약 82억8000만원)이던 거래액은 작년엔 4000배나 많은 2135억 위안으로 폭증했다. 알리바바뿐아니라 다른 전자상거래 업체 징둥과 핀둬둬는 물론 백화점, 슈퍼마켓, 할인마트 등 오프라인 유통 업체들까지 앞다퉈 가세하면서 광군제 행사는 중국 차원의 쇼핑 축제로 자리 잡았다.
올해 한국 상품 판매액은 이날 하루 전체 거래의 절반가량이 몰린 첫 한 시간 동안 미국, 일본에 이어 3위를 차지했다. 해외 직접 구매 순위에서 한국은 2016년 3위를 차지했지만 2017년에는 사드(THAAD) 갈등 여파로 5위로 밀려났다가 지난해부터 다시 3위로 올라섰다.
베이징=노석철 특파원 schroh@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