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재인 대통령이 유엔총회 참석을 위해 22일 미국 뉴욕 방문길에 오른다. 문 대통령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열고 북한 비핵화 방안 등을 논의한다. 일본 아베 신조 총리와의 정상회담은 예정돼 있지 않다.
청와대에 따르면 문 대통령은 22일부터 26일까지 3박5일간 뉴욕을 방문한다. 현지 시간으로 22일 오후 도착해 23일 트럼프 대통령과 9번째 한미 정상회담을 가질 예정이다. 지난 6월 30일 서울 정상회담 이후 3개월 만이다.
북미 간 실무협상 재개 분위기가 무르익은 시점에서의 정상회담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이번 한미 정상회담의 핵심의제는 단연 비핵화 촉진 방안이다. ‘하노이 노딜’ 이후 좀처럼 진전이 없었던 북미 비핵화 협상에 온기가 돌기 시작하면서 ‘촉진자’ ‘중재자’로서 문 대통령의 역할이 다시 커졌다는 분석이다.
최종건 청와대 평화정책비서관은 지난 19일 브리핑에서 “문 대통령은 한미정상회담을 통해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정착을 위한 협력 방안을 협의한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으로서는 북미 양측이 대화 재개에 적극적인 만큼 제3차 북미정상회담 준비를 위한 실무협상이 조속히 이뤄져야 한다는 점을 설득할 것으로 예상된다.
북한과 미국이 비핵화에 접근하는 방식에서 좀처럼 견해차를 좁히지 못했던 점을 고려하면 이 문제를 놓고 어떻게 트럼프 대통령을 설득할지도 관심사다. 문 대통령이 이번 회담에서 일정한 ‘중재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가능성도 있다.
우리 정부의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지소미아) 종료 결정 이후 긴장감이 흘렀던 한미 관계를 복원하는 일도 중요한 과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 미국 측이 지소미아 복원과 방위비 분담금 인상 등을 요구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 문 대통령이 어떻게 미국과 입장차를 좁혀나갈 수 있을지가 관심사다.
문 대통령은 24일에는 유엔총회에서 12번째 연사로 기조연설을 한다. 한반도 평화 정착과 공동 번영을 위한 우리 정부의 노력과 각오를 국제사회와 다시 한 번 공유하고 유엔 회원국들의 협력을 요청할 예정이다. 올해 유엔총회에는 총 193개 회원국 중 100개국 국가 원수와 51개국 정부 수반 등 151명의 정상급 인사들이 참석할 예정이다.
문 대통령은 일본, 중국, 러시아 등 주변국과는 정상회담을 갖지 않을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미국 방문 일정은 한미 동맹 강화, 한반도 평화 진전, 중견국과의 협력 확대, 보편적인 글로벌 이슈에 대한 기여 확대 등에 초점을 맞췄다는게 청와대의 설명이다.
문 대통령은 이 같은 일정을 마치고 25일 오전 한국행 비행기에 올라 한국 시간으로 26일 오후 귀국할 예정이다.
김남중 기자 njkim@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