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노이 북미 정상회담 이후 근신설이 나돌았던 김여정 북한 노동당 선전선동부 제1부부장이 53일 만에 공식 석상에서 모습을 드러내 건재함을 과시했다. 김 부부장은 오빠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함께 대집단체조 예술공연 관람을 수행했다는 점에서 근신설을 일축했다.
조선중앙통신은 4일 김 위원장이 전날 평양 5‧1경기장에서 대집단체조 ‘인민의 나라’의 개막공연을 관람했다고 전하며 이 관람에 김여정 제 1부부장이 김 위원장을 수행했다고 전했다. 김 제1부부장이 공개석상에서 모습을 드러낸 건 지난 4월 열린 최고인민회의 이후 53일 만이다.
조선중앙통신이 공개한 사진에는 김 제1부부장은 김 위원장과 부인 리설주 여사의 바로 오른편에 앉아 있다. 그 뒤로 리수용 당 부위원장이 자리했다. 이 때문에 김 제1부부장의 서열이 더 높아진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이날 공연 관람엔 리마건‧박광호‧리수용‧김평해‧최휘‧안정수‧김영철 당 부위원장과 박성태 최고인민회의 의장, 조용원‧리영식 당 제1부부장, 현송월‧권혁봉‧장룡식 당 부부장, 박춘남 문화상 등이 함께했다.
앞서 한 언론은 김 제1부부장이 하노이 회담 결렬 후 근신처분을 받았다고 보도했다. 김 제1부부장은 지난 4월 북‧러 정상회담에 동행하지 않았고 지난 1~2일 공개된 김 위원장의 자강도‧평안남도 경제 시찰에도 불참하면서 근신설은 더욱 힘을 얻었다. 경제 시찰에 현송월 선전선동부 부부장 겸 삼지연관현악단장이 동행해 김 제1부부장 대신이라는 추측이 나돌았다.
김영철 북한 노동당 부위원장도 하노이 회담 결렬에 대한 책임을 물어 숙청됐다는 보도가 나왔지만 51일 만에 공개석상에 등장하면서 건재함을 과시했다. 이 매체는 실무협상자인 김혁철 국무위원회 대미 특별대표는 처형됐으며 회담 당시 통역을 맡았던 김성혜 통일전선부 통일책략실장도 정치범수용소행 처분을 받았다고 보도했었다.
천금주 기자 juju79@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