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기업銀 ‘도쿄 비자금’ 60억 국내 유입된 듯
우리은행과 IBK기업은행의 도쿄지점도 KB국민은행에 이어 비자금을 조성한 정황이 포착된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 은행 해외 지점의 부실 대출 의혹이 확산되면서 금융 당국도 전방위 조사에 나섰다.
◇우리·기업銀 도쿄지점도 비자금?=12일 금융 당국과 업계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우리은행과 기업은행 도쿄지점의 전(前) 임직원 계좌에서 과도하게 많은 금액이 국내로 유입된 정황을 포착, 이 자금의 성격을 확인 중이다. 이런 방식으로 국내에 들어온 금액은 60억원 수준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 당국은 이 금액이 어떻게 만들어져 어디에 어떻게 사용됐는지 등을 확인하는 작업을 벌이고 있다. 금융 당국 관계자는 “비자금 여부 등에 대해 검사가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금융 당국은 은행별 자체 점검에서 우리은행 600억원, 기업은행 100억원대의 부당 대출 정황이 확인됨에 따라 이에 대한 검사를 진행하고 있다. 해당 은행들에 따르면 기업은행의 경우 문제가 된 시기의 임직원들은 모두 퇴직한 상태지만 우리은행의 경우 한 명이 현재 자회사 임원으로 재직 중이다.
앞서 국민은행은 전 도쿄지점 지점장과 직원이 리베이트를 받고 수년간 5000억원대 불법 대출을 해주고 비자금을 조성한 사실이 적발돼 검찰에 구속 기소된 상태다.
◇일본 지점 잇단 비리 의혹에 금융 당국 전방위 ‘칼날’=국내 은행의 일본 현지 지점에서 비리 의혹이 잇달아 발생하면서 금융 당국의 눈은 현지 진출 은행 전반에 향해 있다.
당국은 유독 도쿄지점들에서 연이어 비리가 터진 것에는 구조적인 문제가 있다는 판단이 깔려 있다.
국내 은행 도쿄지점은 법인체제가 아니다. 해외에서 그것도 법인이 아닌 지점으로 있는 곳은 인사·총무·감사 등의 기능이 정상적으로 이뤄지지 않고 금융 당국의 관리에서도 상대적으로 자유롭다. 대출 서류도 현지에서 작성한 것을 본사에서 심사한다고 해도 현지 사정 등을 일일이 파악할 수 없어 서류 심사에 한계가 있다. 비리의 여지가 많다는 얘기다. 일단은 일본 진출 은행 지점들의 거래 현황을 집중적으로 들여다보고 문제가 있을 경우 바로 검사에 착수한다는 방침이다.
금감원 고위 관계자는 “해외 지점은 금융당국뿐 아니라 본사 감사에서 사각지대이다보니 비리 관행이 있을 수 있다”면서 “은행의 자체 검사 결과를 기초로 면밀히 들여다보고 조금이라도 문제가 있는 것으로 보이면 검사에 들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홍콩 베트남 등 국내 은행의 진출이 많은 지역도 요주의 대상이다. 금융 당국 관계자는 “다른 지역도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단계적으로 들여다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금감원은 앞서 국내 은행의 해외 법인에 대해 은행의 자율적 상시 점검 강화, 보고서 제출 의무화 등의 내용을 담은 감독강화 방안을 마련키로 했다.
조민영 기자 mymin@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