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심생산인구 첫 감소… 한국경제 ‘허리’ 위축

Է:2011-06-14 18:24
ϱ
ũ
핵심생산인구 첫 감소… 한국경제 ‘허리’ 위축

우리 경제의 허리라고 할 수 있는 핵심 생산가능인구가 지난해 처음으로 줄어들었다. 급속한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부작용이 수면 위로 올라온 것이다. 핵심 생산가능인구는 생산가능인구(15∼64세) 가운데 가장 경제활동이 왕성한 시기인 25∼49세의 인구다. 이 연령대 인구가 줄었다는 것은 경제 활력이 떨어지고 있음을 뜻한다.

14일 통계청의 ‘2010년 인구총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1일 현재 내국인 기준으로 핵심 생산가능인구는 1953만8225명이었다. 5년 전 인구센서스 때 1990만4854명보다 36만6629명이나 줄었다.

핵심 생산가능인구가 감소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1949년 인구총조사를 실시한 이후 한국전쟁 기간에도 증가세를 유지했었다. 핵심 생산가능인구는 49년 562만4704명에서 꾸준히 늘어나 2005년에 정점을 찍었다.

전체 인구에서 핵심 생산가능인구가 차지하는 비중도 지난해 뚝 떨어졌다. 2005년 42.3%에 이르렀던 비중은 지난해 40.7%까지 추락했다.

더 큰 문제는 앞으로 계속 핵심 생산가능인구가 줄어들 수밖에 없다는 점이다. 통계청은 “55∼63년에 태어난 베이비붐 세대가 핵심 생산가능인구에서 빠져나가는 규모에 비해 새로 유입되는 인구가 이를 채우지 못하는 실정”이라고 분석했다.

핵심 생산가능인구가 줄어드는 현상은 노동 투입량 감소, 생산성 하락을 유발해 우리 경제의 잠재성장률을 떨어뜨린다. 한국조세연구원에 따르면 인구 감소, 고령화에 따른 취업자 수 감소로 우리 경제의 잠재성장률은 2009년 4% 중반에서 2020년 3%, 2030년 2%, 2050년 0.5%로 하락할 전망이다.

김찬희 기자 chkim@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